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이 새로운 탄소거래 트렌드로 주목받는다. 투명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와 저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됐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국제배출권거래제협회(IETA) 이사회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국제 탄소거래 체결 확산 현상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이사회는 지난 3월 세계 최초 블록체인을 활용

한 국제 탄소거래가 체결된 사례를 집중 논의했다. 탄소배출권이 필요한 투자자(러시아 카본 펀드)와 아프리카 탄소배출권을 보유한 회사 간의 거래였다. 글로벌 법무법인 베이커&맥킨지와 마이크로소프트가 구조·기술 자문을 담당했다. 이들은 IETA 이사회에서 블록체인 최초 사례 유효성을 설명하며 타 시장으로 확대 추진 의사를 밝혔다.

블록체인이란 거래 정보 기록을 특정기관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해 참가자가 공동 기록·관리하는 분산형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기술이다. 모든 사용자가 검증하므로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앙 주체가 없어 위험이 분산되고, 거래비용이 적다.

김성우 삼정KPMG 본부장은 "블랙체인을 탄소시장에 적용하면 중앙집권식 통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탄소거래에 비해 비중앙 집권식 블록체인기반 탄소거래는 매우 투명하고 비용이 적고 기간이 짧아진다"고 설명했다.

거래투명성 제고로 중국 등 후진국 탄소배출량 '더블카운팅(한 번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여러 번 포함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거래비용을 낮춰 기업 탄소실적뿐만 아니라 개인의 탄소실적(배출 또는 저감)까지 쉽게 관리한다.

김 본부장은 "블록체인이 확산되면 세계가 직면한 탄소시장 기술적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블록체인을 활용한 미세먼지·탄소 관리에 성공한 사례를 만들어 기후환경 문제가 심각한 중국 등으로 수출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가치창출 사례임은 물론, 우리나라 IT경쟁력을 환경에너지 산업에 적용해 미래 글로벌 신사업을 선점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IETA 이사회 멤버들은 BP·쉘·메릴린칟RWE 등 정유·에너지·금융 분야 글로벌 기업에 몸 담고 있는 환경·에너지 분야 리더다. 김성우 삼정KPMG 본부장은 우리나라 첫 IETA 이사회 임원이다.

함봉균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