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공기업이 주력인 석탄화력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과 발전설비 포화 상황에서 신규 대형 석탄화력 계획을 세워도 정부가 받아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고민은 깊지만 뾰족한 수가 없어 사실상 발만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3일 발전공기업에 따르면 앞으로 발전소 건설 계획에서 석탄화력 추가는 사실상 배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설비를 건설할 부지 확보도 어려운데다 대형 석탄화력을 가동하면 할수록 온실가스 감축 부담도 커지기 때문이다. 정부가 올해 7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잠정 설비로 있던 석탄화력 4기 계획을 최종 취소한 것도 크게 작용했다.
【사진1】7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영흥화력 7·8호기가 취소된 남동발전은 아직 이를 대체할 발전설비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영흥부지에 더이상 석탄화력 계획을 수립하지 않겠다는 잠정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향후 건설계획에서도 현재 진행 중인 신삼천포를 제외하면 신규 건설에서 석탄화력 사업은 어렵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중부발전도 7차 계획을 기점으로 더 이상 석탄화력 사업 추가는 어렵다는 관측이다. 보령 1·2호기 등 노후 발전소 폐기 후 재건설 단계에서 종전보다 효율과 온실가스감축 효과가 좋은 고효율 대용량 설비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는 정도다. 그마나 중부발전은 보령화력본부에 LNG 발전소가 있어 노후석탄화력 설비 대체로 LNG를 추가 도입을 검토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에 대한 기대감도 크지 않다. 일부 사업자는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긴 하지만 상용화는 아직 멀었다는 게 중론이다. 서부발전이 추진 중인 석탄가스화복합화력(IGCC)은 기존 석탄화력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긴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아 별도로 CCS 설비를 갖춰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선책으로 신재생에너지와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단지 등을 구상하고 있지만 경제성 문제로 막상 추진은 못하고 있다. 현재 발전 부지에서 일조량과 풍향 조건이 발전을 할 수 있을 만큼 맞는 곳이 드물고, 대규모 연료전지나 ESS 단지는 많은 투자비가 필요하다. 원전 이외에는 석탄화력보다 경제성이 나은 발전 설비가 없다는 게 가장 큰 고민이다.
발전공기업 한 관계자는 “석탄화력이 아닌 새로운 발전원으로 신규 건설사업을 추진하려 하지만 매번 경제성 문제에 부딪힌다”며 “현재로선 석탄화력을 대체할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