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있어 배출권 가격이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배출권 가격이 높으면 많은 국가가 CCS 상용화에 나서겠지만, 그 반대면 상용화가 당초 시나리오보다 상당기간 늦춰질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CCS 기술교류회'를 가졌다. 정부 CCS 통합실증을 앞두고 산업부 산하기관이 그동안 진행해온 CCS 기술 성과를 점검했다. 산업부는 이날 발표된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타 부처에서 진행해온 연구개발 사업과 연계해 통합실증 계획을 잡을 방침이다.

2010년 산업부와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부처별로 연소후 습식·연소후 건식·건식 연소전 포집(IGCC)·순산소 연소·저장 잠재용량 평가와 지중탐사 포집 저장 등의 프로젝트를 벌여왔다.

기술교류회에선 한국전력,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화학연구원 등이 CCS 과제 수행 현황을 소개했다. CCS 관련 다양한 포집 방법과 저장,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바꾸는 전환 기술이 소개된 가운데 경제성에 논의 초점이 맞춰졌다.

다수 패널은 CCS업계가 과거부터 주창돼온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 구현을 위해선 무엇보다 경제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출권 가격이 CCS 경제성 잣대가 될 것이란 데 공감하는 분위기다. CCS 설비를 구축하는 비용이 적어도 배출권을 외부에서 사들이는 것보다는 저렴해야 시장경쟁력이 생긴다는 설명이다. 배출권 가격이 이산화탄소 톤당 최소 4만원선은 유지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CCS가 배출권에 비해 경제성이 높아지만 세계적으로 상용화 작업이 빨라지고 화력발전에 우선 적용된 후 다른 대량 배출원까지 적용분야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는 발전연계 CCS 기술을 중심으로 30㎿e급 실증사업에 착수한 단계로 대용량 처리를 위해선 아직도 7년 이상 개발이 더 필요한 단계로 봤다.

배출권 가격과 CCS 경제성 전망에 대해선 두 비용 곡선이 특정 지점에서 만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미 다수 국가가 온실가스감축 주요 수단으로 CCS에 주목하고 있어 이 기술을 활용하지 않으면 배출권 수요증가에 따른 가격 상승이 온다는 분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신기후체제가 아직 도래하지 않는 상황에서 배출권 가격과 CCS 경제성 전망을 단정하긴 힘들다"며 "교류회에 나온 기술개발 성과를 통해 타 부처와 대규모 통합 실증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