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업계가 제7차 전력수급계획과 관련 분산전원 대책과 LNG발전 비중 유지 대책을 정부에 주문하고 나섰다. 원전·송전망 등 대규모 전원설비 건설이 지역민원으로 힘들어지면서 분산전원 대표주자격인 LNG발전에 대한 정부 차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근 '전력시장 현황과 분산형 전원의 발전 방향' 주제로 열린 3차 에너지미래포럼에서 에너지전문가들은 올해 수립될 7차 전력수급계획에 분산전원 대책과 함께 온실가스 저감, 설비 건설 반대 여론 등을 감안한 에너지 믹스가 담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분산전원 중심 전원계획 변화와 LNG발전소 수익 악화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졌다. 전원설비 건설 난항과 계통 신뢰도 문제 해결을 위해 분산전원 전환이 필요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분산전원인 LNG발전소 수익하락이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포럼 기조강연자로 나선 유상희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LNG발전소 이용률 하락 추세를 언급하며, LNG 위기가 국가 에너지 믹스와 분산전원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전력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LNG발전 부문을 유지하려면 연료원별 가격편차와 가격리스크, 온실가스 감축 등의 대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패널토론에서는 LNG발전 유지책으로 전력시장 입찰 기본금인 용량요금 인상 필요성이 제기됐다. 그동안 발전소 투자비 인상분 등이 반영되지 않은 용량요금을 현실화해야 현재 시장가격 인하에 따른 연료비 마진폭 감소를 극복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조상순 포스코에너지 실장은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수도권 인근의 LNG발전소조차 적자를 내고 있다"며 "도심지의 분산전원과 국가 전력피크 조절 역할을 하는 LNG발전소에 대한 용량요금 현실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용량요금 인상은 신중을 기해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백승정 한국전력 기획본부장은 "전력위기 시절 LNG발전사들이 높은 수익을 창출할 때 반대편의 한전은 적자 늪에 허덕이고 있던 과거를 떠올려 달라"며 용량요금 인상이 한전 적자위기를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내비쳤다.

7차 전력수급계획에 대해선 지금까지의 경제급전 순위가 아닌 총괄원가 순위 방식의 방법이 필요하다는 데 다수 의견이 모아졌다.

이창호 전기연구원 센터장은 "분산전원이 비싸다고 하지만 별도 송전망을 건설하지 않는 비용회피를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상순 실장도 "앞으로 전력계획엔 온실가스 감축과 송전선로 건설, 원전 사후처리 등 사회적 비용도 반영돼야 한다"며 전력계획 수립 방안 변화 주장에 힘을 실었다.
조정형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