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가 주력인 정유사업에서 2년 만에 흑자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지만 속앓이는 되레 깊어지고 있다. 실적 개선 원인을 오롯이 국내 기름값 인상 때문으로 인식하는 소비자 오해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실적이 개선될 때마다 국내외 악조건을 수출로 이겨낸 노력은 사라지고, 소비자 '가격 전가'만 부각된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10일 정유업계는 올해 1분기 주요 정유사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유갇제품가격·정제마진이 동반상승하는 이른바 트리플 효과가 직접 배경이 됐다. 우리나라 도입 비중이 가장 높은 두바이유는 연초 최저치 대비 40% 이상 상승했다. 싱가포르 현물시장 기준 휘발유, 경유 가격도 1월 최저치 대비 각각 46%, 27% 상승했다. 이는 곧 지난해 정유사를 괴롭힌 재고평가손실 축소를 의미한다.

수익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정제마진도 지난 2013년 이후 최초로 배럴당 10달러를 넘어섰다. 정제마진은 정유사가 원유를 수입해 제품으로 가공 판매할 때 붙는 마진이다. 지난 20개월 동안 배럴당 2~8달러 구간을 벗어나지 못했다. 업계는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 기준으로 배럴당 7~8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트리플 호재가 겹치며 올해 정유사 실적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업계는 소비자의 따가운 눈초리를 벌써부터 걱정하며 여론 눈치를 살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유업계 1분기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면서도 "이 기간 국내 주유소 가격도 상승해 정유사 실적 개선이 오롯이 소비자용 기름값 인상에 따른 것으로 인식하는 오해가 늘어나는 것이 최대 고민거리"라고 말했다.

실제로 정유업계는 과거 좋은 실적을 냈을 때마다 예외없이 폭리논란에 휩싸였다. 이는 유가가 상승할 때 통상 실적이 개선되는 정유업 특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유가가 상승 시에 재고평가차액이 발생하고 제품가격과 정제마진도 상승한다. 이때 소비자 기름값도 상승하기 때문에 실적개선 시기에 정유사를 향한 소비자 시선은 곱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업계는 억울함을 호소한다. 정유업계의 전체 매출에서 주유소 판매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30% 수준이다. 해외 수출 비중이 약 60%를 넘어섰고 석유제품 수출, 해외 자원 개발, 윤활유 등 비정유 사업도 규모를 더하고 있다. 국내 주유소 공급가는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과 연동해 움직이고 있어 폭리를 취할 수 없는 구조라는 설명이다. 지난해 국내 정유사 주유소 공급가격이 싱가포르 국제 제품가격에 연동해 움직였고 마진폭도 줄어든 상황을 근거로 든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름값은 국제 제품가격과 연동해 움직이지 정유사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며 "정유사가 기름값 인상으로 영업이익을 크게 개선하는 것처럼 느끼는 소비자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정유업계 숙제"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