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충전기 국제표준(콤보)과 국내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간 통신 충돌 논란으로 국가표준 채택에 제동이 걸린 가운데 정부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한다. 20분 안팎의 급속 충전 콤보 방식은 당분간 국가표준에 준하는 단체표준으로 유지하면서 7∼8시간이 소요되는 완속 충전의 콤보는 통신 기능이 없는 조건부 수용이 유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으로 2∼3년 동안 국내 전기차 이용자의 충전인프라 이용 불편은 해소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기차 급속(DC)충전 국제표준(콤보)에 국가표준 채택은 신중히 하면서 완속(AC)충전 콤보 방식에는 통신 간섭을 회피하는 기술을 개발해 적용할 방침이다. 대다수 완성차 업체가 충전방식으로 국제표준인 '콤보'를 선호하는 가운데 국가기술표준원이 지난 2월 콤보 방식을 단체표준으로 정했기 때문에 충전기 보급과 확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더욱이 최근 정부가 실시한 콤보 방식의 급속 충전기와 한국전력이 구축예정인 원격검침인프라(AMI) 간 통신 테스트에서 간섭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콤보 방식의 완속 충전기다. 한전의 AMI와 통신 간섭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수의 완성차 업체가 완속 충전에 콤보 방식을 채용했지만 간섭 원인인 PLC를 장착하지 않고 있어 당분 간 충돌 우려가 없다. 정부는 완성차 업체가 완속 충전 콤보 방식에 PLC를 채용할 것을 고려해 통신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기술 확보 전까지는 일정 기간 완성차 업체 완속 충전기능에 PLC 채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급속 충전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차량에 유입시키기 때문에 PLC를 활용한 충전기·차량 간 배터리 잔량 등 실시간 제어기능이 필수다. 반면에 완속 충전기는 기본 출력전압에 따라 전기를 유입시키기 때문에 실시간 제어기능 채용이 절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특정 완성차 업체의 잘못된 정보 전달로 전기차 충전에 대한 오해가 발생했지만 급속은 이미 단체표준으로 정했고, 완속 충전 역시 PLC를 채용한 완성차가 아직 없어 당분 간 문제될 게 없다"며 "콤보 방식의 급속충전과 한전 원겸검침인프라(AMI) 간 통신간섭 테스트는 일정 시험 조건에서 이뤄진 만큼 실제 현장 상황과 다를 수 있어 국가표준 채택은 신중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