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 세계적으로 공유경제가 확산하면서 새로운 소비 트렌드인 구독경제가 뜨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로 현재 많은 대중들이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원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구독경제를 이용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OTT 서비스인 넷플릭스나 왓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멜론, 지니 등이 있다.

이처럼 무언가를 선택해 금액을 지불하고 ‘소유’하던 시스템에서 이제는 ‘공유’하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들은 본인의 스타일에 맞고 합리적인 금액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찾고 있다. 현재 구독경제의 범위는 점점 더 넓어지고 있으며 우리 삶에 더욱 깊게 뿌리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만일 자동차도 구독할 수 있다면 어떨까?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테크내비오에서는 세계 자동차 구독 시장이 2019년에서 2023년까지 78억 8000만 달러(약 9조 6000억여 원) 규모로 커지며, 연평균 63%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는 소비재 가운데서도 금액이 높은 축에 속하고 있다.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과 더불어 소모품 교체 및 관리와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점검도 필요하다. 자동차는 여러 방면에서 손이 많이 가지만, 구매한 시점으로부터 감가상각 되어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이렇듯 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여러 자동차 브랜드에서도 다양한 자동차 구독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페어링형과 교환형, 단독형이 있다. 페어링형은 장기 대여의 개념이지만 이용을 하지 않을 때 또 다른 이에게 공유할 수 있다. 교환형은 차량 3가지 모델을 한 달에 한 번씩 교체하면서 탈 수 있다. 단독형은 한 가지 차량 모델만 사용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국내에서 가장 처음으로 자동차 구독 서비스를 선보인 곳은 바로 ‘트라이브’다. 최소 6개월에서 1년 단위로 구독할 수 있으며, 구독 시점으로부터 6개월 경과 시 중도 해지 수수료가 없어 이용자들의 부담을 낮추었다. 더불어 월 구독료에는 차량 대여비를 포함해 차량 등록세부터 정기 점검, 세차, 고장 수리비 등 모든 서비스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트라이브의 자동차 구독 서비스는 원하는 차량을 선택해 구독료를 지불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를 받으며 내 차처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유비만 부담하면 되는 셈이다. 6개월 혹은 1년 단위로 차량을 바꿔 탈 수 있어 다양한 차종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관계자는 “보통 장기 렌트의 경우 36개월~48개월 정도로 약정 기간이 길고 중도 해지 시 수수료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트라이브의 약정 기간은 6개월~1년으로 유동성이 있고, 구독 시점으로부터 6개월 경과 시 해지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이용자들의 부담을 낮췄다.”라고 말했다.

이어 “자사의 자동차 구독 서비스는 제공하고 있는 차량의 70%가 수입차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브랜드의 자동차를 6개월~1년 간격으로 합리적인 금액대로 이용 가능해 호평이 이어지고 있으며,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트라이브는 성장 가능성을 알아본 현대자동차에서 초기 투자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하나카드에선 트라이브 서비스 전용 신용카드를 출시했다.

구교현 기자 (kyo@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