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연구개발에 향후 5년 간 300억원을 투자한다. 기초·원천 기술 개발부터 법·제도 개선에 이르는 패키지형 사업으로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한다.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한국연구재단에서 '에너지·환경 통합형 학교 미세먼지 관리 기술개발 사업(이하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한 범부처 합동 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2019년도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올해 46억5100만원을 포함해 2023년까지 총 300억원을 투자한다.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과 연계해 과학기술 기반으로 학교 미세먼지 해결책을 마련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부처 간 장벽 없는 통합적 운영을 위해 범부처 단일 사업단을 구성했다. 학교 미세먼지 프로젝트 기획·관리·평가 등 전주기 사업관리를 한다.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 현장 개선 요구 사항을 지속 반영할 계획이다.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 사업은 △기초·원천 △통합관리 △진단·개선 △법·제도 개선 4개 연구그룹 중심으로 추진한다.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실증과 법·제도 개선까지 통합한 패키지 형태다.

기초·원천 부문에선 학생 활동, 건물특성과 외부요인에 의한 미세먼지 오염 특성을 규명한다. 학생 활동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 특성·실내 공간 특성 평가와 학생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해 학교 미세먼지 발생·유입·건강 영향 등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과학적 근거 기반 지원·관리 체계를 수립한다. 올해 '외부 환경 및 활동도 기반 학교 건물 내 미세먼지 발생 특성 규명' '학교 미세먼지 노출 특성별 학생 건강영향평가 및 중재효과 분석'에 각각 14억원, 6억원을 투자한다.

통합관리 부문에선 신재생 에너지 연계 중앙공조시스템과 복합기능 개별 분산 유닛 개발·실증을 추진한다. 학교 냉난방 환경을 고려한 신축 학교 맞춤형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연계·활용한 학교 맞춤형 시스템 개발이 목표다. '신재생 에너지 연계 실내외 열·공기 환경 정보연동 청정공조환기 시스템 개발'에 8억원을 투입한다.

진단·개선 측면에선 초등학교 유형별 컨설팅과 맞춤형 공기환경 개선 방안 실증에 주력한다.

학교 유형별 현황 조사, 유형별 공기정화장치 적용 시나리오 구성,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기존 학교 대상 최적 공기 정화장치 운전 방법 등을 제안한다. '학교 유형별 컨설팅 및 맞춤형 공기환경 개선 방안 실증'에 9억 5100만원을 배정했다.

법·제도와 관련해선 학교 미세먼지 법·제도 개선 및 관리도구(Tool Kit)를 개발·보급한다. '학교 미세먼지 관리체계 구축'에 3억원, '빅데이터 수집·처리·분석기법과 에너지·환경 연계 관리 기술 및 통합 지원체계 개발'에 2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한화택 범부처 합동 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성장기 학생은 미세먼지 취약 계층이자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미세먼지와 온도, 환기량 등 실내 환경 종합 해결책이 필요한 만큼 관계 부처가 적극 협력하고, 과학적 근거 기반으로 미세먼지 걱정 없는 안전한 학교 공간을 조성 할 수 있도록 사업단에서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동천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개발 사업단장은 “미세먼지가 학생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학교 미세먼지 사업단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학교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최호 정책기자 snoop@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