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에서 기승을 부린 고농도 미세먼지가 최대 82%까지 중국 등 국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유차 운행금지, 화력발전소와 공장 가동률 조정 등 국내 배출량 감축에 초점을 맞춘 기존 미세먼지 대책 개선이 필요하다.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덮친 지난달 14일 서울 광화문.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덮친 지난달 14일 서울 광화문.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11일부터 15일까지 발생한 미세먼지(PM2.5) 고농도 발생 원인을 지상 관측자료, 기상·대기질 모델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지난달 고농도 사례는 '나쁨' 수준 농도가 5일 간 지속된 가운데 12일 올해 첫 일평균 '매우나쁨'(75㎍/㎥ 초과) 수준 강한 고농도 현상을 보였다. 14일은 19개 예보권역 중 서울 등에서 2015년 미세먼지 측정 이후 각각 지역별로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이날 서울 129㎍/㎥, 경기북부 131㎍/㎥, 충북 123㎍/㎥ 등을 기록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번 사례의 국외 영향은 전국 기준 69~82%로 평균 75%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 산둥반도와 북부지역에 위치한 고기압권 영향으로 인한 대기정체 상태에서 10~11일 1차 유입됐다. 13일 이후 북서풍 기류로 강한 국외 오염물질이 2차로 추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동북아시아 대기정체 속에 축적됐던 오염물질이 10일 중국 산둥반도 부근 고기압 영향에 따른 서풍기류를 타고 들어왔다. 서해상 기류 재순환에 의해 해소되지 못한 상태에서 13일부터 다시 중국 북부 고기압 영향으로 국외 미세먼지가 추가 유입·축적돼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위성을 활용한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분석결과도 11~13일 한반도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이 많이 분포했다. 12일과 14~15일은 전국적으로 고농도 에어로졸이 관측됐다.

이 기간 중국 주요 도시 초미세먼지 농도는 역대 최악이었던 한국보다도 훨씬 높았다. 12일 베이징의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91㎍/㎥에 달했다. 같은 날 톈진시는 200㎍/㎥, 스좌장시는 324㎍/㎥나 됐다. 13일 선양시와 칭다오시의 농도는 각각 208㎍/㎥, 216㎍/㎥이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고농도 미세먼지는 한국과 중국 양국 모두 기상악화와 장시간 오염물질 축적으로 고농도가 강했던 사례였다고 설명했다. 중국 측에 분석결과를 전달하는 등 연구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양국 간 조기경보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오는 20일 일본에서 개최되는 한·중·일 정책대화 시 별도 세션을 마련해 미세먼지 예·경보 정보를 상호 공유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한다.

이번 고농도 사례와 대조적으로 지난해 11월 3~6일에는 대기정체로 국내 오염물질이 지속 축적되면서 고농도 상태가 발생했다. 이 때 국외 영향은 18∼45%로 국내외 기여도는 기상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판단했다.

정부는 오는 15일부터 '미세먼지 특별법'을 시행한다.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수도권지역 민간차량도 2부제를 지켜야 한다. 운행제한차량도 배출가스 등급에 따라 유종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중유 발전소와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가동 제한, 건설공사장 단축 운영, 배기가스 등급제 등 규제도 병행한다. 대부분 조치가 국내 배출량 감축에 주안점을 뒀다. 중국 등 국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추가 조치가 요구된다.

환경부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는 국외 영향이 월등히 높았던 것을 감안해 미세먼지 조기경보 체계 구축과 한중환경협력센터 가동 등 중국과의 협력과 감축 노력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15일부터 시행되는 '미세먼지 특별법'에 따른 조치도 병행해 국내외 발생요인을 모두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고농도 사례별 국내외 기여도 산정 결과 비교(미세먼지(PM2.5), 전국)

[자료:국립환경과학원]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