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5일 서해 하늘에서 인공강우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한다.

미세먼지 뒤덮힌 광화문.
미세먼지 뒤덮힌 광화문.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5일 서해상에서 기상항공기를 이용해 만들어낸 인공강우가 미세먼지를 얼마나 저감할 수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합동 실험을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실험 지역은 경기 남서부 지역과 인근 서해상이다. 기상과학원은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한 뒤 구름과 강수 입자 변화를 관측하고, 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한다.

올해 인공강우 실험은 약 15회 진행할 예정이다. 합동 실험에는 항공기, 선박, 이동 관측 차량, 도시 대기 측정망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다.

두 기관은 기상장비를 활용해 기온, 습도, 바람 등의 기상 여건과 미세먼지 상황을 분석한 뒤 실험에 적합한 장소를 찾는다. 이어 기상항공기가 인공강우 물질인 요오드화은 연소탄 24발을 살포하면 기상과학원이 구름과 강수 입자 변화를 관측하고, 천리안 기상위성과 기상레이더를 활용해 인공강우 생성 효과를 분석한다.

기상관측선이 해안 지역과 상공의 기상을 관측하고, 환경과학원은 해상과 내륙 등에서 인공강우 물질 살포 전부터 후까지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측한다.

인공강우는 주로 강우량을 늘려 가뭄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됐다.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중국과 태국에서도 인공강우를 활용해 미세먼지 저감을 시도한 바 있지만, 공식적인 성공 사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기상청은 이번 실험 결과 중 기상 분야는 실험 다음 날인 26일 발표하고, 좀 더 과학적인 분석 결과는 전문가 자문을 거쳐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다.

그 간 인공강우 실험 실적을 감안하면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때는 고기압 영역에 들어 맑기 때문에 인공강우로 비를 내리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2017년 기상청과 경기도가 함께 인공강우 실험을 9차례 진행했지만 시간당 10㎜ 이상, 2시간 넘는 비 지속시간 등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인공강우 세기나 지속시간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과 비교해 인공강우 기술 수준은 73.8%, 기술 격차는 6.8년가량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인공강우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면 현재 기초연구 단계에 있는 인공강우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