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데일리 = 한진경 기자] 해외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국내유턴 계획이 미미한 수준으로 국내유턴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동유연성 제고와 규제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제조 기업 중 해외사업장을 보유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6%에 해당하는 대다수 기업들은 국내 유턴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턴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비중은 1.3%로 2개사에 불과했으며, 향후 국내사정이 개선되거나 현지사정이 악화될 경우 국내 유턴을 고려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2.7%로 4개사 뿐이었다.

국내유턴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는 ‣해외시장 확대(77.1%) ‣국내 고임금 부담(16.7%) ‣국내 노동시장 경직성(4.2%) 순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해외진출 기업들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대응과 현지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해외 생산거점을 매우 중요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해외 생산거점에 대한 추가 투자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의 투자규모 유지(67.4%) ‣투자 규모 확대(24.3%) ‣경영환경이 더 나은 제3지역으로 진출(5.6%) ‣투자규모 축소(2.1%)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현재의 해외 생산거점에 대한 투자 수준을 축소하기보다는 유지․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유턴기업 확대를 위한 필요 과제로는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29.4%)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규제완화(27.8%) ‣비용지원 추가 확대(14.7%) ‣법인세 감면기간 확대주)(14.2%) ‣수도권 유턴기업에도 인센티브 허용(7.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경연은 “국내기업 유턴 촉진을 위해서는 노동시장 유연화․규제완화 등 국내 경영환경 개선이 세제 등 직접적인 지원제도의 확충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리쇼어링은 주력 제조업의 침체에 따른 투자 및 고용 위축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의 비싼 인건비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한 기업환경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 (news@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