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DB>
<전자신문DB>

전기업계가 최근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 송배전망 현대화와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협력사업으로 주목했다. 우선 과제로는 전압계급·설비 표준화와 전기기자재 공급 등을 꼽았다.

대북 투자의향에 대해서는 87.9%가 상황을 보며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견을 보였다. 대다수가 단독 진출보다는 컨소시엄 구성을 선호했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7일 회원사 대상으로 실시한 '전기산업 대북진출 전력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진흥회는 이를 바탕으로 '남북 전기산업 협력 및 대북 진출 기본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전기산업 중장기 로드맵과 액션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응답기업은 남북관계에 대해 △'매우 희망적' 24.4% △'다소 희망적' 71.3% 등 95.5%가 긍정적으로 예상했다. 투자 의향도 '당장 적극 추진' 10.6%, '중장기적 추진' 87.9%로 긍정적인 답변이 주를 이뤘다. 응답기업·기관은 대기업 14곳, 중소·중견기업 50곳, 연구소·단체 2곳 등 총 66곳이다.

투자 방법에서는 다자간 컨소시엄 구성이 68.3%로 가장 많았다. 단독 투자는 22.7%, 해외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다는 의견은 9%였다. 재원조달 방안은 남북협력기금 등 정부자금(53.6%) 활용에 관심이 많았다. 북한 개방 시 최대 경쟁국은 중국(85.5%)이 꼽혔다.

남북 간 협력과 투자 유망 분야로는 송배전망 현대화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마이크로그리드 등 분산전원 구축 등이 언급됐다. 노후 발전소 개보수와 합작공장 등 현지 생산시설 구축 협력도 필요할 것으로 봤다. 동북아 슈퍼그리드와 원전 건설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기대치가 높지 않았다.

남북경협 시 가장 진출 가능한 품목은 변압기(13.3%), 태양광 등 신재생(12.8%), 개폐기(9.7%), 차단기 및 ESS 등 에너지 신산업(9.0%), 전선(8.7%), 배전반(8.0%), 발전기(7.3%), 전동기(4.9%), 보호계전기(4.2%), 금구류(3.8%), 변성기, 피뢰기, UPS 등 변환장치(3.1%) 순으로 조사됐으며 기타 품목으로는 전력안정시스템, 애자, 접속재, HVDC 등이 지목됐다.

남북 협력시 고려사항으로는 △제품 기술기준 등 표준 통일화 △투자비용 회수 △경협 중단(개성공단 사례) 같은 불확실성 제거방안 마련 등이 지적됐다.

북한 전력시스템 증강계획 수립에 남한 기술자 참여 등을 위해 범국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진흥회 관계자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는 내수시장 한계점을 맞고 있는 전기산업은 물론, 장기적으로 남북한 모두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중장기 로드맵과 액션플랜을 통해 남북 협력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