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세계 원자력 및 방사선 엑스포(NURE 2018)가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간의 향연을 시작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있었던 해부터 올해 8회째를 맞는 NURE2018은 안전·해체·수출을 에너지전환 시대 미래 3대 성장동력으로 제시했다. 산업 전환기를 맞이한 원자력계의 기술융합과 새로운 사업영역 개척 노력이 펼쳐졌다.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어려운 분위기에서도 방사선 산업과 융합산업 분야에서의 기회를 엿볼 수 있었다.

NURE 2018은 원자력·방사선 분야의 4차 산업혁명 흐름을 확인하는 자리다. 기관은 물론 산업계와 경진대회에 참여한 학생도 4차 산업혁명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원자력·방사선 영역 개척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특히, 가상체험(VR) 기술 활용은 이번 행사에서 돋보이는 부분이었다. 율시스템, 비즈 등 아이디어 기업은 원전 안전관리와 해체, 방사선 사고시 비상대피 요령 등을 VR 콘텐츠로 선보였다. 원자력 엔지니어는 VR를 통해 복잡한 원전 내부 환경에 있는 설비를 실제와 같이 체험하며 유지보수 훈련을 받을 수 있다. 향후 원전 해체시장을 대비 미리 설비를 분해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만나볼 수 있었다. 일반 참관객은 가상 공간에서 발생한 방사선 비상시 대피 체험을 했다. 기급대피시 주의사항과 각 단계별 행동요령을 미리 경험했다.

원전 안전을 책임지는 로봇도 많은 관심을 끌었다. 방사선 피폭이라는 특수성이 있는 로봇은 원전에서 많이 활용해 온 분야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비상사고 모니터링 로봇 △방사선폐기물 안전관리 로봇 △방사선암치료 로봇을 선보였다. 비상사고 모니터링 로봇은 원전 비상사고시 현장에 투입, 특수 궤도바퀴로 약 1시간 30분 동안 현장을 돌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한다. 방폐물 안전관리 로봇은 인간이 직접 점검하기 힘든 방사선 물질과 폐기물 등을 대신 해준다. 방사선 암치료 로봇은 의료계에 방사선 수술이 늘어나면서 국산화가 진행 중으로 선형가속기를 로봇팔에 장착해 모든 방향에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치료 로봇이다.

학생들도 4차 산업혁명기술과 원자력·방사선 융합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제3회 대학생 원자력&방사선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참가 학생은 증강현실, 드론, 딥러닝 등 다양한 신기술 융합 가능성을 제시했다. 소형 X선 장치에 딥러닝을 접목시킨 원격진료, 드론을 활용한 방사선 오염부지 제염기술 등이 관심을 끌었다.

흥미로운 전시로 눈길을 끈 곳도 있었다. 코리아세이프룸은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긴급 대피공간인 공기안전 대피소를 출품해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방사선 안전사고시 긴급대피는 물론 미세먼지 나쁨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한국 원자력의학원은 현미경으로 직접 암세포를 관찰 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 많은 학생이 찾았다.

원자력·방사선 업계는 이번 행사를 통해 새로운 산업 방향으로 안전·해체·수출·신시장을 주목했다. 안전부문은 사회적 인식이 커지면서 그 요구가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시 내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기술·한전KPS 등을 비롯한 다수 참가자들이 안전 강화 기술을 강조했다.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와 원자력정책포럼·한국원자력기자재진흥협회는 원자력 원로 및 정책포럼과 원전부품·설비 인·검증 세미나 등을 개최해 향후 원자력 산업의 방향이 안전 강화와 해체산업 육성 수출시장 확대에 맞춰져야 한다는 아젠다를 던졌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원전 기자재 보강상황과 원전해체에 필요한 기술의 개발 현황, 향후 기술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공유했다.

방사선에 대한 관심도 이번 행사의 특징이다. 원자력·방사선 산업계가 에너지전환 시대 새로운 융합 신시장으로 방사선 분야를 주목했다. 방사선 바이오·의료, 비파괴 분야 등이 생활 속 방사선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미래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다.

이와 관련 한국방사선진흥협회와 한국방사선산업학회는 제10차 방사선진흥포럼을 열고 국내 방사선 관련 규제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라돈 침대 사태 이후 방사선 관련 규제가 강화 일변도로 가는 분위기에 우려를 표했다. 강력한 규제는 큰 위험으로 인식되면서 오히려 방사선 안심을 도모하기 힘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방사선 안전 홍보와 관련해선 산업계 당사자 중심의 홍보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금연 캠페인과 같은 국가적 방사선 위험 바로 알리기 행동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규제 현실성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수술실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CT 촬영장비가 대표적이다. 환자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형 CT를 통해 응급실·중환자실·앰뷸런스 등 장비가 환자가 있는 곳에서 촬영할 수 있지만, 규제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방사선 업계는 방사선은 위험요소이지만 순기능이 많은 기술이라는데 공감하며, 일관성 있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규제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