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겨울철 스포츠 여가활동으로 인해 일반인들 중 어깨질환을 앓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어깨가 빠졌다’고 표현되는 어깨탈골탈구 환자들의 경우 어깨탈구 초기에 잘못 대처할 경우 습관적 탈구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어깨탈골탈구는 팔의 위쪽 뼈인 상완골이 어깨관절에서 이탈된 것으로 어깨 및 팔 부위에 갑작스럽게 큰 충격을 받았을 때 발생하기 쉽다. 특히 어깨관절은 신체의 관절 중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운동 범위도 큰 만큼 탈구가 빈번히 일어난다.

어깨탈골탈구의 대표적인 증상에는 공 던지는 자세가 되면 팔이 빠지는 느낌이 드는 것과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팔이 아래로 쳐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것 등이 있다. 탈구된 부위가 붓고 멍이 들기도 하며, 손에 저림 현상도 동반될 수 있다.

어깨가 탈구됐을 때에는 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 탈구된 어깨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환자 본인이 직접 어깨를 끼워 맞추려 시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칫 잘못하면 주변 혈관이나 신경, 인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을 통해 교정을 받아야 한다.

첫 어깨탈골탈구 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연골 손상과 힘줄 파열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불안정한 증상이 지속되면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이 손상되어 헐거워지게 된다. 헐거워진 관절낭은 사소한 동작에도 어깨가 빠지는 습관성 탈구의 원인이 되므로 시기를 놓치지 말고 제때 의료진의 처치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의 어깨탈골탈구는 보조기 착용 및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어깨탈구가 반복돼 습관성 어깨탈구로 이어진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어깨탈구의 예방법은 최초의 탈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스포츠 활동을 할 때 어깨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평소 회전근개 강화 운동 등을 통해 어깨 주변의 근력을 키우는 것이 어깨 부상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어깨탈골탈구 수술 전에는 의료진을 통한 꼼꼼한 진단이 우선돼야 하며, MRI 촬영 또는 조영제를 투여한 MRA 촬영이 필요하다”며 “어깨구조물이 손상돼 서로 벌어진 상태라면 벌어진 정도에 따라 재파열 및 재탈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종민 기자 (jongmin1@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