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과 중국·일본·러시아·몽골 전력망을 하나로 연결하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실현 가능성이 커졌다. 조사결과 기술적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이 인정됐다. 사실상 외교 협상만 남아있는 상황으로 국가 차원의 움직임이 요구된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지난 1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타당성 연구용역 결과, 기술·경제적으로 가능하다고 나왔다”며 “실현을 위해선 외교적 진전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의 이날 발언은 국정감사를 통해 밝힌 타당성 의견을 재확인한 것이다. 조 사장은 지난달 26일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동북아 슈퍼그리드 타당성 조사 결과 기술적·경제적으로 감내할 만한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능성 논의 수준을 넘어 슈퍼그리드 실현을 위한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조 사장은 다음주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과의 만남에서 슈퍼그리드 이슈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전이 예상하고 있는 슈퍼그리드 구축비용은 5조~7조원 사이,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 만큼 남은 숙제인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에 공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아시아 브릿지' '아시아 슈퍼링' 등으로 불리는 대규모 아시아 에너지 벨트를 말한다. 중국 웨이하이시와 우리나라 인천, 부산시, 일본 마쓰에시, 훗카이도와 러시아 사할린을 연결하는 해저 전력망 구축이 핵심이다. 한국·중국·일본·러시아·몽골 5개국 전력망을 원형태로 잇는 사업이다.

'에너지 섬' 지역인 우리나라와 일본 입장에선 다른 나라로부터 전력을 빌릴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3차 동방경제포럼'에서 “거대한 슈퍼그리드로 결합하면 동북아시아가 세계 최대 에너지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며 관심을 표명한 사안이다.

한편, 조 사장은 한전의 비전에 대해 데이터 중심 회사를 꼽았다. 전력시장에서 환경·사회갈등·시장참여자 증가 등 비용상승 요인이 많아지는 만큼 기존 사업모델을 벗어나 전력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모델을 찾겠다는 구상이다.

조 사장은 “한전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이고 관련 기술력 또한 매우 높다”며 “전력 빅데이터 솔루션을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이는 서비스로 해외시장을 개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