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 대안 중 하나로 제시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확대 정책이 난항이 우려된다. LNG 사업을 해야 할 발전업계가 신규 사업에 나설 의향을 보이지 않는다.

28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이달 초 한국전력거래소가 아직 건설을 시작하지 않은 신규 석탄화력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LNG 전환 의향을 구두 조사했다. 새 정부가 앞으로 석탄화력사업을 승인하지 않고 이미 승인한 사업에 대해서도 공정률이 미미하면 재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조사결과 LNG 전환 의사를 밝힌 사업자는 아직 한 곳도 없다.

업계는 시작부터 무리한 조사였다는 반응이다. 신규 석탄화력 사업 대다수는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됐다. 사업을 준비한 지 벌써 4년이 지났다. 아직 시공에 들어가진 못했어도 사업자간 컨소시엄 구성, 부지확보 등 상당한 비용이 투입됐다. 연료전환이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LNG 발전소를 지으려 했다면 애초부터 바다 인근 부지를 확보할 필요도 없었다"며 "석탄화력을 LNG로 안 바꾸는 것이 아니라 못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7차 전력수급계획 당시 취소된 영흥화력 7·8호기도 유사한 사례다. 영흥 7·8호기는 석탄화력으로 계획됐지만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로부터 LNG 전환을 요구받았다. 발전소 건설보다 해당 부지까지 LNG 배관을 끌어오는 비용이 더 커지는 등 현실적 한계가 있어 시도되지 못했다. 이에 사업자가 수도권 대기환경기준보다 더 강한 기준을 충족하겠다는 대안을 제시했지만 결국 사업이 취소됐다.

시작부터 LNG로 계획된 사업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정부는 친환경 발전 대안으로 LNG를 주목했지만, 석탄·LNG 여부에 상관없이 지역사회는 발전소를 혐오시설로 본다. 실제로 4년 간 추진된 통영LNG발전소는 지역 주민 반대에 시달리다 올해 초 건설이 무산됐다.

기존 LNG 발전소의 신규 설비 업그레이드도 난항을 겪었다. 분당복합화력은 설비 노후화로 발전소 리모델링을 계획했지만,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되지 못해 연거푸 고배를 들었다. 하반기 수립될 8차 전력수급계획 포함 여부도 불확실하다.

더 큰 문제는 발전업계 전반에 LNG 기피 현상이 팽배해 있다는 점이다. 지금 당장 LNG 발전사업자가 적자경영에 시달리는 이유가 크다. 이미 다수의 LNG 발전소 경쟁으로 가동기회를 잡기도 힘들고 전력판매 수익도 손익분기점을 밑도는 상황에서 참여할 명분이 없다는 분석이다.

시장 체계도 아직은 LNG에 불리하다. 원전과 석탄이 우선 발전하고 남는 부분을 LNG가 후순위로 메우는 게 현 구조다. 똑같이 건설이 어렵다면 석탄화력이 낫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탈 원전·석탄 정책에도 향후 10년 넘게 원전과 석탄이 기저발전을 책임지는 만큼 LNG 발전은 여전히 리스크가 크다는 인식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원전과 석탄을 짓지 못하게 한다고 사업자가 LNG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업계는 인센티브도 없고, 수익성은 떨어지는 LNG 발전사업을 꺼린다"고 말했다.

조정형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