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스위스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이해'라는 주제로 다보스포럼이 열렸다. 포럼 논의에 의하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만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그동안 일하거나 살아온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지고 일 효율도 크게 개선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노동시장 붕괴를 가져오는 등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이 출현할 때 마다 수많은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져 인류가 그 혜택을 봐온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기술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성장엔진이 된다는 측면에서 융·복합적 ICT 기술은 창조경제 해답이다.

창의성이나 아이디어에 기반한 창조산업의 성장을 의미하는 '창조경제' 용어는 피터 코이(Peter Coy)가 처음 사용한 이래 UN에서 창조경제 보고서를 발간하면서부터 확산되기 시작했다. 문화산업을 창조경제의 유망한 전략산업으로 키우는 선진국은 물론이고 창조경제 생태계가 취약한 개도국도 최근 창조경제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창조경제는 과학기술과 산업이 융합하고 문화와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간 벽을 허문 경계선에 창조의 꽃을 피우는 것"이라고 피력하면서 창조경제를 국가 시책으로 앞세우는데 이르렀다. 창조경제는 패러다임 전환과 창의성 발현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일자리 및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열었고 인프라를 갖춰가고 있다. 창업보육기업 수나 중소기업 기술·판로·자금지원 건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민간투자 연계형 R&D 자금 등 공공투자와 연계한 투자펀드 집행도 활성화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ICT 기업은 성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 또는 웨어러블디바이스 등을 앞세워 블루오션 창출에 너나없이 뛰어들었으며, 사물인터넷(IoT) 기반 설비 운영이나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 서비스 등 신사업을 속속 선보이며 창조경제 구현에 동참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은 그 자체가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솔루션이면서 동시에 창조경제 생태계를 형성하는 기반기술이다. ICT는 새로운 시장창출, 생산성 향상 등 기업과 국가경쟁력의 핵심동력으로써 경제와 사회 모든 부문에 연관된다. 이러한 ICT 생태계는 CPND, 즉 콘텐츠(Contents), 플랫폼(Platform), 네트워크 (Network), 디바이스(Device)의 상호작용과 유기적 융합에 의해 기반이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력산업 전체의 변화와 혁신 전략으로 '에너지밸리' 구축과 조기 정착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 태양광분야 투자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에너지신사업의 시장확대와 성공모델을 창출하는데 진력하고 있다.

글로벌ICT 시장에서 생존을 위한 역량을 키우며 전력분야 중견기업의 수출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시스템 미래화, 전력과 비전력분야 융합, 에너지밸리 R&D 인프라와 품질혁신 플랫폼 기반 구축과 전력분야 기반기술 공유 등의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생태 환경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성장 동력과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 우리 경제가 저성장의 덫에 고착되지 않고 산업경쟁력 강화로 발현되길 기원해 본다.

박성철 한국전력 CTO(기술본부장) BIZO184@kepco.co.kr

조정형 기자 jenie@greendaily.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